본문 바로가기
공연전시문화축제

운진항에서 가파도 배예약, 가파도 여행 예약

by 뽀뽀야 2024. 5. 3.

1.가파도 운진항 위치 주소

가파도 운진항 위치는 제주도 서귀포시 대정읍 최남단해안로 120, 지번 주소는 제주 서귀포시하모리 646-2-번지 입니다.

가파도 운진항 전화번호는 064-794-5491입니다.

 

 

 

가파도 배예약
가파도 홈페이지 출처

 

2. 가파도 예약, 배예약, 요금표

 

가파도 홈페이지 예약은 1일전까지 가능하니 참고하시고 

하루 전에 반드시 예약해야 합니다

 

가파도 온라인 배예약 후 주의할 점!

온라인 예약하신 뷴둘운 출항 40분전까지 도착하셔서

'사전예약창구'로 가셔야 합니다.  미도착시 예약이 취소되니

늦게 가셔서 다시 줄서야 되는 상황이 일어나지 않게 알고 계셔야 할 것 같습니다.

 

가파도 예약을 온라인으로 빠르게 예약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 버튼에서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가파도 배예매
가파도 배예매

 

가파도 배예매
가파도 배예매
가파도 배예매
가파도 배예매

 

3. 가파도 배시간

가파도에 가려면 운진항에서 출발하는 배 시간 간격이 30분에서 40분 간격이니 이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운항 시간표가 날씨에 따라서도 변경될 수 있으니 아래 가파도 배시간을 실시간으로 확인 하실 수 있으니

 

궁금하시면 아래 버튼에서 확인하시길 바라겠습니다.

(날씨에 따라서 운항 시간표가 변경될 수 있으니 반드시 확인해주세요)

 

가파도 정기 운항 시간표
운진항 출발 가파도 출발
- 09:00
- 09:20
- 09:50
- 09:50
08:40 10:50
09:00 11:20
09:30 11:40
10:00 12:30
10:30 13:20
11:00 13:50
11:20 14:20
12:10 14:20
13:00 14:50
13:30 15:20
14:00 15:50
14:30 16:10
15:00 17:10
15:30 17:30
15:50 17:40
16:20 -
16:40
-

 

4. 가파도 날씨

가파도 배예약 하실 때는 꼭 가파도 실시간 날씨를 꼭 확인해 주세요

아래 버튼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가파도배예매
가파도배예매
가파도배예매
가파도배예매

 

5. 가파도 여행, 가파도 힐링산책

가파도는 1842년 이후부터 사람들이 들어가 살게 외었으며, 현재 운진항에서 매일 정기여객선이 왕래합니다.

연안에서 해녀들이 김, 굴, 해삼, 전복, 소라 등을 채취합니다.

또 가파도는 역사적으로도 유명한 곳인데 우리나라가 처음으로 서양에 소개도니 계기가 된 곳이기도 합니다.

 

가파도에서 체험할 수 있는 것은 낚시체험, 해녀와의 체험, 야간의 올레길, 스노쿨링, 텐트존등이 있고 

먹거리로는 보말칼국수, 짬뽕, 짜장면, 소라구이, 정식, 핫도그, 청보리미숫가루, 아이스크림, 해물라면, 커피음료등이 있습니다.

가파도배예약
가파도 홈페이지 출처

 

가파도 여행 볼거리

 

  • 상동포구 선착장: 가파도 주민들과 관광객들의 교통수단인 가파도 정기여객선의 승, 하선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상동마을 할망당: 어부와 해녀의 안전과 풍어를 빌던 곳으로 상동 할망당은 '매부리당', 하동 할망당은 '뒷서낭당'으로 부르며, 재단이 주로 남성 위주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비는 축제 성격의 제사를 지내는 곳이라면, 당은 여자들이 주도해 어부와 해녀의 안전과 풍어를 빌던 곳입니다.
  • 보름바위(큰 왕돌): 가파도 북서쪽 해안가에 있는 큰 암석으로 큰 바람을 일으킨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바위크기는 상하가 약 4m, 좌우가 약 3m로 함부로 바위에 올라가거나 걸터앉으면 태풍이나 강풍이 불어 큰 재난이 생긴다고 하여 신성시 합니다. 
  • 소망전망대: 가파도에서 제일 높은 위치에 2.5m높이로 설치하여 제주 본섬과 한라산, 마라도 그리고 푸른 바다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가파도 최적의 명소이며, 매년 국태민안을 기원하는 '한라산신제'처럼 이곳에서 한라산을 향해 설문대 할망에게 소망을 기원할 수 있는 장소입니다.
  • 짓단(제단): 마을의 안녕을 도모하여 포제를 지내는 장소로서, 제을지낼 때 사용하는 일종의 사당인 집을 '짓단집'이라 하고 그 집이 있었던 밭을 ' 짓단집밭(제단집)'이라고 부릅니다.
  • 문화예술창작공간: 가파도 문화예술창작공간은 제주특별자치도와 현대카드가 장기간 중단된 공사장을 매입해 국내외 유명작가들의 거주오 창작공간으로 만든 건물입니다.
  • 돈물깍: 바닷가의 샘 끄트머리라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돈물은 담수를 일컫는 제주지역어로, 바닷물, 즉 짠물고 대비되는 말인데, 바닷가 마을에는 소금기 없는 담수가 비교적 적지만 제주지역 바닷가 마을이 공히 사용하는 명칭입니다.
  • 불턱: 해녀들이 물질을 하기 위해서 옷을 갈아입거나 무자맥질해서 작업하다가 부을 피워 몸을 녹이기 위해서 바닷가에 돌을 둥그렇거나 네모지게 쌓아 만든 공간을 말합니다.
  • 까마귀돌(동산): 가파도 하동포구 부근에 있는 큰 바위를 가리키는 것으로 그 형태가 마치 까마귀와 비슷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릅입니다. 까마귀돌도 보름바위와 마찬가지로 함부로 만지거나 혹은 위로 올라서거나 걸터앉으면 태풍이나 강풍이 불어 큰 재난이 생긴다고 하여 신성시 합니다.
  • 고냉이 돌: 가파도 남쪽 ㅣ해안가에 있는 바위로 그 형태가 마치 고양이와 비슷한데서 연유한 이름으로 '고냉이'는 '고양이'의 제주어 입니다.

 

 

 

 

 

 

반응형

댓글